2024년 리튬전지 음극재 시장가격 동향 및 “생산능력 경고”

2024/01/10 13:53

2023년 말, 이미 '평탄'했던 인조흑연 가격이 다시 하락했다.

최근 음극재인 인조흑연 가격이 다시 소폭 하락했다. 2024년 1월 8일 현재, 중저급 인조흑연 평균 가격은 톤당 16,300위안, 톤당 25,500위안, 톤당 47,500위안입니다.

연초부터 6월까지 '지속적 하락'을 거쳐 6월부터 12월까지 평탄화를 거쳐 설날을 전후해 또 다시 하락세를 보인 2023년 내내 양극재 가격 동향을 살펴보면, 지난 2년간 과잉 생산에 대한 압박으로 인해 2023년 음극 궤도가 '피투성이'로 변할 것입니다.


비용 측면에서 보면 전기요금과 원자재 비용 절감 여지를 계속 찾기 어렵다. 이제 양극재 산업의 가격은 원가선을 넘어섰다. 계속되는 "대량 대비 가격" 경쟁으로 인해 양극 시장 패턴이 양극화되는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GGII의 불완전한 통계에 따르면 현재 양극재 생산업체는 90개가 넘고 업계 생산능력은 400만톤에 육박하며 전체 산업 평균 가동률은 50%에도 미치지 못한다. 대부분의 기업은 생산을 시작하자마자 생산을 중단해야 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생산 능력을 흡수하기 어렵습니다.


생산 능력 활용의 관점에서 볼 때 업계의 생산 능력은 "머리 상태와 꼬리 상태"로 나뉩니다. TOP6 기업의 전체 생산능력 가동률은 70%를 넘는 반면, 7위 이상 기업의 평균 전체 생산능력 가동률은 30% 미만이다.


현재 음극재 업계의 CR6 농도율은 78%다. 월간 1,000톤 이상의 양극재를 출하하는 양극재 업체는 15개 미만으로 전체 업계 시장점유율의 80% 이상을 점유하고, 나머지 80개 업체는 나머지 20%의 시장을 '점유'하게 된다. .


2024년에는 부정적인 중소기업이 직면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1) 음극재 가격이 더욱 하락했다. 주류 인조흑연 340mAh/g 제품은 톤당 16,000위안 미만이다.


2) 중단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가 어렵습니다. 운영 비용이 높습니다. 낮은 가동률의 영향으로 중소기업의 95% 이상이 장비 감가상각 비용이 선두 기업보다 3배 이상 높습니다.

3) 소수의 고객 주문이 시장별로 "분할"됩니다.

4) 상류 양극재 공급업체의 대금 징수 주기가 길어지고, 대금 징수 리스크도 높아지고 있다.


GGII는 구조적 과잉 생산과 업계 개편에도 불구하고 양극재 시장은 여전히 ​​성장 여지가 있다고 보고 있다. 2030년 우리나라 음극재 출하량은 580만톤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데, 그 중 인조흑연이 여전히 시장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출하량이 470만톤을 넘고 있다.

양극재 기업의 생존을 위해서는 제품 차별화와 경쟁, 시장 포지셔닝 세분화, 원자재의 목표 개발 등 기업 간 부조화 경쟁을 형성하기 위한 기타 조치가 필요합니다.

특히 제품 차별화 우위 구축에 있어서 배터리 기술의 다각화된 개발로 인해 응용 분야에서는 양극 재료의 더 높은 속도와 더 높은 에너지 밀도에 대한 기술 업그레이드 요구 사항을 제시했습니다. 리튬 배터리 양극 트랙의 다음 기술 혁신이 추진력을 얻고 있습니다.


Shanshan Technology, Putailai 등 국내 대표적인 음극재 업체들은 이미 양극재 급속충전 경험을 축적해 왔다. Putailai는 2차 과립화 과정에서 깊게 축적됩니다. Putilai는 전력 및 가전제품 시장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회사가 주로 3C~10C의 고속 충전 음극을 배치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10월 Shanshan Technology는 자사의 독창적인 액체 코팅 기술이 5C를 초과하는 배터리 고속 충전 성능을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차세대 이상적인 음극 소재인 실리콘 기반 양극은 2023년부터 전반적인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신기술 경로인 다공성 탄소 실리콘 기반 양극은 성능과 안정적인 생산성 모두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GGII에 따르면 대규모 대량 생산 측면에서 불완전한 통계에 따르면 현재 모든 주류 실리콘 기반 양극 회사를 포함하여 40개 이상의 다공성 실리콘 탄소 회사가 있습니다.


다운스트림 적용 진행 측면에서 국내 배터리 업체들은 월간 수백kg 구매를 달성했다. 실험실 데이터에서 실리콘 산소 및 기존 실리콘 탄소와 비교하여 다공성 실리콘 탄소의 성능은 "롤링 유형"입니다. 국내 배터리 업체들이 블렌딩한 비중은 30%에 달하고, 해외 배터리 업체 연구소 데이터는 50%에 달한다. 다공성 실리콘 탄소 재료의 팽창 계수가 50% 미만(이론 팽창 계수는 20% 미만)이기 때문에 혼합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준비비용 면에서 다공성 규소탄소의 이론적인 준비비용은 20만위안/톤 이내이다. 따라서 다공성 실리콘 카본의 규모 확대와 기술 진보로 인해 비용 대비 성능 측면에서 기존의 주류인 실리콘 산소 및 실리콘 탄소 루트를 앞지르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대형 원통형 배터리의 규모가 커지면서 2025년 국내 실리콘 기반 양극재 출하량은 6만톤을 넘어설 것으로 GGII는 내다봤다.

관련 상품